728x90
반응형
게임 개발은 어떤 단계로 이뤄질까
첫번째 : 기획 단계
기획단계에서는 PD, TD, AD라는 세사람이 등장합니다.
PD( Project Director ) 한 팀의 헤드 역활을 하며 게임 전반의 방향성을 결정 방송의 PD와 비슷한 역활 |
시나리오, 장르, 방향성 → 문서로 만들어줌 |
▼
AD( Art Director ) 아트팀의 모든 방향성을 결정 3D 그래픽, 2D 컨셉 등 가능성 여부 결정 |
PD의 문서를 보고 컨셉아트를 그려줌 |
▼
TD( Technical Director ) 서버팀, 클라이언트팀 등 모든 기술팀의 헤드 역활 전체적인 기술의 흐름 및 방향성을 결정 {회사 마다 명칭이 다른 경우가 있음 TL등등 |
모든 자료를 토대로 프로토타입의 게임을 만듬 기획 단계에서 만든 프로토타입의 게임은 서버가 거창하게 있거나 그렇지 않고 클라이언트 위주로 만 |
두번째 : 개발 단계( 서버 개발자 기준 )
사실 서버팀은 개발 단계에서 그렇게까지 바쁘지 않다.
게임의 장르에 따라서 팀의 규모가 정해지는데 "팀", "셀", "스튜디오" 등 회사마다 팀을 부르는 호칭이 달라질 수 있음
이 시기에 서버팀이 하는 일은?
- 인프라 구성
- 대규모 트래픽처리를 위한 분산 서버 구성( 테스트 정도 수준)
- 업데이트 방식 설계 → 서버를 다내렸다 키는방식을 할꺼냐, 아니면 롤링방식으로 업데이트를 할꺼냐 등을 정함
- 서버 관리, 모니터링 툴 적용
- NAS, 내부망, 클라우드 세팅
- 팀원 모집
- 인프라, 클라우드, DBA, 웹, 게임서버
- 서버 로직 개발
- 오픈 컨텐츠 개발 대응
- 더미테스트, 부화테스트 진행
- 내, 외부 QA 대
세번째 : 라이브 단계( 오픈단계 )
서비스 릴리즈 날짜가 정해졌다면 사무실 불은 끄지 마라
즉 라이브 단계부터 바빠짐
오픈 이후에는 ?
- 처음 몇달간 이슈대응으로 고생하면 또 다시 점점 할 일이 적어짐(상대적으로)
- 트래픽의 경우는 점진적으로 감소하는것이 일반적이라 크게 대응할 일이 없어짐
- 업데이트의 경우에만 바짝 긴장
- 게임 컨텐츠 개발의 연속X100
- 미션추가, 전투 형태 변경, pvp등
- 각종 이벤트 대응
- 외부 투자사, 콜라보를 통해 진행하는 이벤트 로직 개발 및 기존 코드에 적용
728x90
반응형
'Node.j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키텍쳐패턴의 3계층 개념정리 (1) | 2024.10.09 |
---|---|
HTTP, TCP, 그리고 웹소켓 (0) | 2024.09.30 |
프리즈마(Prisma) (1) | 2024.09.11 |
미들웨어(Express.js) (0) | 2024.09.05 |
[Node.js + MongoDB + ejs]글 작성기능 만들기(post요청,insertOne,예외 처리) (2) | 2024.07.27 |